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난간
- 미끄럼방지합성데크
- 유웰아트휀스
- 수영장데크
- 합성목재휀스
- 유웰코리아
- 유웰합성데크
- 록스비
- 유웰합성목재데크
- 요트투어
- 유웰
- 울타리
- 방부목
- 세일링파라다이스
- 유웰디자인휀스
- 바닥재
- 디자인휀스
- 휀스
- 합성목재
- 합성데크
- 한강요트투어
- 전원주택
- 합성목재데크
- 미끄럼방지데크
- 한강투어
- 논슬립합성데크
- 유웰합성목재휀스
- 요트
- 한강요트클럽
- 논슬립데크
Archives
- Today
- Total
유웰합성데크/한강요트클럽
깨진유리창의법칙-사소함의힘- 본문
#깨진유리창의법칙
-사소함의 힘-
사소한 작은일이 큰일에 영향을 미친다
평소에 자신이 자주 지나던 거리를 걸어가는데 어떤 상점의 쇼윈도에 누군가 돌을 던졌는지 유리창이 깨져 있는 것을 봤다고 하자.
그런데 그 다음날에도 그 깨진 유리창이 그대로 방치돼 있다면 어떤 생각이 들겠는가?
그 빌딩 주인이나 관리인이 이 건물에 대해 별로 애착을 갖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자신마저 돌을 던져 그 유리창을 깨도, 어느 누구도 상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도덕적 해이(moral hazard)가 들지도 모른다.
이런 생각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전파된다면 무법 상태에서 모든 유리창이 깨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말 것이다.
후미진 구석에 멋대로 방치돼 있는 자동차가 형편없이 망가지는 것도 마찬가지 논리이다.
정말 그럴듯하지 않은가? 이것이 바로 ‘깨진 유리창 법칙(Broken Windows Theory)’이다.
깨진 유리창 개념은 원래 범죄 현상을 주로 다루던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James Q. Wilson)과 조지 켈링(George L. Kelling)이 1982년에 만든 개념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자.
1980년대 중반에 뉴욕시는 급속도로 빈민굴처럼 변질됐는데 시 정부와 경찰이 이를 보면서도 방치했기 때문이다.
뉴욕시 길거리는 지저분한 낙서투성이였고 지하철은 위험할 정도로 더러워서 범죄가 끊이지 않았다.
범죄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기업과 중산층은 교외로 빠져나가 밤은 물론 낮에도 한적한 거리와 지하철은 가기를 꺼려하는 대상이 돼 버렸다.
그런데 1995년에 뉴욕 시장에 취임한 루디줄리아니(Rudy Giuliani)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뉴욕시 정화 작업에 돌입했다.
먼저 뉴욕시 주요 거점에 CCTV를 설치해 낙서한 사람들을 끝까지 추적했다. 또 지하철 내부 벽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범죄를 집중 단속하기 시작했다.
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거듭 확인한 뉴욕 시민들은 자신들의 과거 행태를 바꾸기 시작했다.
주위 환경이 전체적으로 더럽다면 사람들은 오물을 쉽게 버린다. 하지만 주위가 깨끗할 때에는 그러지 못한다. 자신의 부적절한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쉽게 들통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설득력 있는 깨진 유리창 논리는 일반 사회 현상뿐 아니라 기업의 마케팅, 홍보, 고객 서비스, 기업 이미지, 조직 관리 등 여러 비즈니스 분야에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들이 기업과 상품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기업 경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말 중에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속담이 있다. 좀 더 학문적인 표현으로는 환원주의(reductionism)라고 부른다. 각 부분에는 전체가 축약돼 있다는 논리다.
기업들이 얼핏 보기에는 하찮은 것처럼 보이지만 소비자들은 그러한 세세한 것에서 기업의 전체 이미지를 확대 해석해 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는 상품 구입에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예를 들면 고객은 식당의 화장실이 더러우면 그 식당의 주방에 들어가 보지는 못했지만 주방 역시 더러울 것이라고 짐작하게 된다.
따라서 그 고객은 그 식당 출입을 자제하게 될 것이다. 어떤 회사에 전화를 걸었다면 전화를 받은 직원이 하는 말을 듣고서 그 회사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낯선 나라에 방문한 외국인은 이동 중 탄 택시 운전사의 행태를 보고 그 나라의 전체적 이미지를 갖게 된다.
따라서 기업은 세세한 것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더구나 한 고객의 조그만 불평은 인터넷을 통해 쉽게 많은 사람에게 퍼지고 조그만 불평에 동조한 사람들의 반복되는 댓글을 통해 불평의 강도가 훨씬 증폭된다.
예들 들면 상품에 하자를 느낀 고객이 회사에 전화를 걸어 불만을 토로했는데 이에 대한 직원의 응답이 매우 거만하고 불친절해서 화가 난 고객이 이를 녹음해 인터넷에 유포시켰다고 생각해 보자. 일파만파 퍼진 녹음 내용 때문에 손상된 기업 이미지를 다시 복구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처럼 한 조직의 총체적인 위기는 조그만 실수와 방치에서 비롯되는 법이다. 깨진 유리창은 재빨리 수선을 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세상에는 여러 가지 계산법이 있다.
1+1=2의 결과는 유클리드 계산법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에디슨은 1+1=1이라고 했다.
물방울 하나에 물방울 하나를 더하면 서로 엉켜 커다란 물방울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시너지 효과를 중시하는 사람이라면 1+1=3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깨진 유리창 이론에서는 100-1=0이다. 사소한 실수 하나가 전체를 망가뜨리기 때문이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다소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지만, 한편으로 사소하지만 사려 깊은 배려를 통해 100+1=200의 결과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사소함의 힘-
사소한 작은일이 큰일에 영향을 미친다
평소에 자신이 자주 지나던 거리를 걸어가는데 어떤 상점의 쇼윈도에 누군가 돌을 던졌는지 유리창이 깨져 있는 것을 봤다고 하자.
그런데 그 다음날에도 그 깨진 유리창이 그대로 방치돼 있다면 어떤 생각이 들겠는가?
그 빌딩 주인이나 관리인이 이 건물에 대해 별로 애착을 갖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자신마저 돌을 던져 그 유리창을 깨도, 어느 누구도 상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도덕적 해이(moral hazard)가 들지도 모른다.
이런 생각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전파된다면 무법 상태에서 모든 유리창이 깨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말 것이다.
후미진 구석에 멋대로 방치돼 있는 자동차가 형편없이 망가지는 것도 마찬가지 논리이다.
정말 그럴듯하지 않은가? 이것이 바로 ‘깨진 유리창 법칙(Broken Windows Theory)’이다.
깨진 유리창 개념은 원래 범죄 현상을 주로 다루던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James Q. Wilson)과 조지 켈링(George L. Kelling)이 1982년에 만든 개념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자.
1980년대 중반에 뉴욕시는 급속도로 빈민굴처럼 변질됐는데 시 정부와 경찰이 이를 보면서도 방치했기 때문이다.
뉴욕시 길거리는 지저분한 낙서투성이였고 지하철은 위험할 정도로 더러워서 범죄가 끊이지 않았다.
범죄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기업과 중산층은 교외로 빠져나가 밤은 물론 낮에도 한적한 거리와 지하철은 가기를 꺼려하는 대상이 돼 버렸다.
그런데 1995년에 뉴욕 시장에 취임한 루디줄리아니(Rudy Giuliani)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뉴욕시 정화 작업에 돌입했다.
먼저 뉴욕시 주요 거점에 CCTV를 설치해 낙서한 사람들을 끝까지 추적했다. 또 지하철 내부 벽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범죄를 집중 단속하기 시작했다.
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거듭 확인한 뉴욕 시민들은 자신들의 과거 행태를 바꾸기 시작했다.
주위 환경이 전체적으로 더럽다면 사람들은 오물을 쉽게 버린다. 하지만 주위가 깨끗할 때에는 그러지 못한다. 자신의 부적절한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쉽게 들통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설득력 있는 깨진 유리창 논리는 일반 사회 현상뿐 아니라 기업의 마케팅, 홍보, 고객 서비스, 기업 이미지, 조직 관리 등 여러 비즈니스 분야에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들이 기업과 상품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기업 경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말 중에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속담이 있다. 좀 더 학문적인 표현으로는 환원주의(reductionism)라고 부른다. 각 부분에는 전체가 축약돼 있다는 논리다.
기업들이 얼핏 보기에는 하찮은 것처럼 보이지만 소비자들은 그러한 세세한 것에서 기업의 전체 이미지를 확대 해석해 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는 상품 구입에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예를 들면 고객은 식당의 화장실이 더러우면 그 식당의 주방에 들어가 보지는 못했지만 주방 역시 더러울 것이라고 짐작하게 된다.
따라서 그 고객은 그 식당 출입을 자제하게 될 것이다. 어떤 회사에 전화를 걸었다면 전화를 받은 직원이 하는 말을 듣고서 그 회사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낯선 나라에 방문한 외국인은 이동 중 탄 택시 운전사의 행태를 보고 그 나라의 전체적 이미지를 갖게 된다.
따라서 기업은 세세한 것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더구나 한 고객의 조그만 불평은 인터넷을 통해 쉽게 많은 사람에게 퍼지고 조그만 불평에 동조한 사람들의 반복되는 댓글을 통해 불평의 강도가 훨씬 증폭된다.
예들 들면 상품에 하자를 느낀 고객이 회사에 전화를 걸어 불만을 토로했는데 이에 대한 직원의 응답이 매우 거만하고 불친절해서 화가 난 고객이 이를 녹음해 인터넷에 유포시켰다고 생각해 보자. 일파만파 퍼진 녹음 내용 때문에 손상된 기업 이미지를 다시 복구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처럼 한 조직의 총체적인 위기는 조그만 실수와 방치에서 비롯되는 법이다. 깨진 유리창은 재빨리 수선을 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세상에는 여러 가지 계산법이 있다.
1+1=2의 결과는 유클리드 계산법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에디슨은 1+1=1이라고 했다.
물방울 하나에 물방울 하나를 더하면 서로 엉켜 커다란 물방울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시너지 효과를 중시하는 사람이라면 1+1=3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깨진 유리창 이론에서는 100-1=0이다. 사소한 실수 하나가 전체를 망가뜨리기 때문이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다소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지만, 한편으로 사소하지만 사려 깊은 배려를 통해 100+1=200의 결과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사업자 정보 표시
록스비 | 김성경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중앙로 295번길25 | 사업자 등록번호 : 108-37-96295 | TEL : 02-2637-2555 | Mail : hanacorps@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21-용인수지-064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도시여행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안심포니2017 그리고 꿈 콘서트 (0) | 2017.04.25 |
---|---|
4월, 희망의 二夜記(이야기) (0) | 2017.04.25 |
한폭의 그림같은 서울야경 (0) | 2017.04.23 |
초간단 셀프 마사지-송숙현저자- (0) | 2017.04.20 |
나주곰탕 동동주가 무료 ㅋ (0) | 2017.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