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한강투어
- 유웰디자인휀스
- 논슬립합성데크
- 유웰코리아
- 요트투어
- 한강요트투어
- 유웰합성목재휀스
- 합성목재데크
- 미끄럼방지데크
- 수영장데크
- 바닥재
- 미끄럼방지합성데크
- 디자인휀스
- 난간
- 울타리
- 유웰합성데크
- 전원주택
- 합성목재휀스
- 한강요트클럽
- 록스비
- 휀스
- 요트
- 세일링파라다이스
- 합성목재
- 유웰
- 합성데크
- 방부목
- 유웰합성목재데크
- 담장
- 논슬립데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37)
유웰합성데크ㅣ한강마린
최수정 귀국 피아노 독주회 Soo Jeong Choi Piano Recital 2018. 12. 11(화) 오후 8시 금호아트홀 주 최 : 예인예술기획 후 원 : 인천예술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독일 만하임 국립음대 동문회 # Pianist 최수정 “She is a highly intelligent pianist and musician, she can play expressive and virtously as well sensitive, has good technical and analytical skills.” - Andreas Pistorius, Pianist (그녀는 매우 지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음악가로서 비르투오적이고 풍부한 표현력으로 섬세한 연주가 가능한 동시에 좋은 테크닉과 분석능력을 가..
정승연 첼로 독주회 Seung-Yeon Jung Cello Recital 피아노 / 김재원 2018. 12. 2(일) 오후 2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주 최 / 예인예술기획 후 원 /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미국 뉴 잉글랜드 음악원, 보스턴 음악대학 동문회 # 프로필 첼리스트 정승연은 예원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도미하여 뉴 잉글랜드 음악원(New England Conservatory)에서 학사(B.M.) 및 석사학위(M.M.)를 취득하였고, 보스턴 대학교(Bosto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D.M.A.)를 취득하였다. 정승연은 어린 시절부터 음악성이 돋보이는 연주자로서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청소년 음악회(예술의전당)’에서 뛰어난 기량의 협연무대로 청중들의 갈채를 받으며 데..
제42회 서울대OB합창단 정기연주회 2018. 12. 1(토) 오후 2시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주 최 : 서울대OB합창단, 예인예술기획 # 공연 소개 싸늘한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는 12월의 첫 날, 따스한 하모니로 마음을 밝혀주는 음악을 선사하는 서울대OB합창단이 제42회 정기연주회를 개최합니다. 세계적인 종교합창 작곡가 이만트 라민쉬의 작은 미사(Missa Brevis)를 비롯, 댄 포레스토와 올라 야일로 등 사랑받는 현대 합창 작곡가들의 작품을 연주합니다. 현대합창이 전해주는 아름답고 신선한 화성의 세계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겨울의 낭만과 서정을 담은 합창곡들과 새로운 느낌으로 편곡된 흑인영가를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화합과 조화의 음악, 합창을 통해 영혼이 따뜻해지는 겨울을 맞이하시길 바..
사소한 한마디가 인생을 바꿀 수 있고 바뀔 수 있습니다 어떤게 좋으세요? 1.부자로 사는 것 2.부자가 되는 것 #유웰코리아
본인의 성공에 꼭 필요한 사람들은 가족들이다. 또한 본인의 실패 요인도 가족들이다. 가족은 본인의 장단점, 강약점을 모두 알고있다. -김성경-
절도죄(형법329조)는 다른 죄보다 죄값이 크다. 분명 아파트 주민이 범인 맞는데 ㅋㅋ 남의물건을 본인물건으로 착각하는 사람들 마음 편할까? 점유이탈물횡령죄(형법360조)도 무서운법이다 제발 남의물건 소중히 생각하자
남산예술센터 [연극: 두 번째 시간] [시놉시스] 연극 두 번째 시간은 독재정권 시절에 의문사로 죽은 남편을 둔 부인의 삶을 통해 기록된 역사에서 빗겨난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 개개인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작품이다 남편이 의문사로 죽은 지 37년, 홀로 남은 부인은 사건의 재조명을 희망하며 살아가지만 세상은 그저 고요하기만 하다. 갑자기 찾아온 아들과 그 아들의 며느리라고 주장하는 여성. 그들이 이루어가는 이야기. 듣기만 하니 무슨 이야기인지 궁금진다. [시놉시스] 누군가는 그에게 화해를 권한다.누군가는 그에게 모든걸 잊고 떠나라고 말한다. 부인은 화해할 수도, 잊을 수도, 떠날 수도 없다. 남편이 의문사로 죽은 지 37년이 지났다. 부인은 사건